1122 [소설에 부치는 소식 20/24]
그제 11월 22일은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는 절기, 소설이었습니다.
1. 바스락, 툭, 후두둑
소리에 뒤를 돌아보면 아무도 없습니다. 나뭇잎이 떨어지는 소리가 이렇게 클 줄이야. 매번 놀라고, 매번 신기합니다.
2. 텃밭수업 시간에
서리 맞은 식물들이 어떻게 달라졌나 살펴보고, 불을 피워 고구마를 구워먹었습니다. 토마토 지주들을 걷어낸 농장 풍경은 이전과 사뭇 다릅니다. 계절이 바뀌었다는 실감이 나지요.
3. 갈무리하느라 손이 바쁜
요즘입니다. 붉은팥, 알땅콩, 수세미, 햇생강, 고춧가루를 가지고 12월 1일(월) 마르쉐 채소시장 @서교에 출점합니다. 만나면 반갑게 인사해주세요!
4. 풀무전공부 추수감사제에
다녀왔습니다. 전공부 밭이 꿈뜰 농장 바로 옆에 있어서 거의 매일 마주치는 살가운 이웃이지요. 전공부 25년 기록전시관에서 수집한 글귀와 시 한편을 공유합니다.
❝
농사일은 자기 손에서 끝내야 해 _오도
❝
계절의 흐름에 따라 농사짓는 사람이 철든 사람이야 _장길섭
❝
손톱의 때 - 김경례
손톱 깊숙이 흙때가 끼었다
머리를 감아도
빨래를 해도
손톱을 깎아도,
없어지지 않는다
힘줄이 솟은 투박한 엄마의 손이
생각난다
엄마의 손톱에도 때가 끼었다
나도
서서히
엄마 손을 닮아가나 보다
5. 『사랑의 노동』
다음 책모임은 11월 27일 목요일 오전 10시, 꿈뜰 농장에서 만나요. 모인 자리에서 천천히 함께 읽는 모임이니, 부담없이 참여해주세요.
<7장. 뱃사공의 임무: 임종의 침상>에서 수집한 글귀를 공유합니다.
❝
우리는 환자 앞에 있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있어주는 것은 이제 사라져가는 기술입니다. 정신을 흩뜨리는 너무나 많은 것들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있어주는 것은 기술이자 선물, 세상에 존재하는 방식입니다. 때로는 누군가를 돌보는 것이 그저 옆에 함께 있어 주는 것인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에는 어색한 침묵이 포함되기도 하지요. 근본적으로 말해서 완화치료는 도망가지 않는 행동입니다. 364p
❝
삶이 어떻게 끝나는지, 또 어떻게 끝나야 마땅하며 어떻게 끝날 수 있는지 아는 것은 삶에서 필수적인 기술이다. 어떻게 시작하는지 아는 것보다 훨씬 중요할지도 모른다. 373p
6. 사진은 최근에서 오래된 순으로
1121 빈 밭, Bean 밭, 붉은 팥을 걷어낸 자리
1119 고춧대 걷어내기
1118 알땅콩을 까봅시닷
1117 숲에서 날라온 씨앗에서 자란 단풍나무
1117 지줏대 뽑는 법을 알려줄게~
1117 불을 피우고, 고구마를 구워먹자
1112 꺼먹보리 새싹이 났어요.
1111 동네 할머니들이 농장에 마실오셨다
1111 팥팥팥 팥을 따자2
1110 팥팥팥 팥을 따자1










7. 링크트리에
꿈뜰의 최신+중요한 링크들을 한데 모아 두었습니다.
linktr.ee/carefarmer
자기다운 모습으로 어울리며
함께 일하고 배우는 농장
꿈이자라는뜰
#24절기 중에 스무번째 절기
#소설 #MinorSnow #小雪 적을 소 눈 설
#꿈이자라는뜰 #소식을주고받는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