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우에 부치는 꿈뜰소식 06/24]
어제 4월 20일은 곡식에 이로운 비가 내린다는 곡우였습니다. 산과 들에서 얻을 수 있는 연한 것들이 아주 많아지는 철이지요.
1. 산에 들에
쑥, 두릅, 취나물, 질경이, 돌나물, 민들레, 달래, 뽕순, 화살나무순, 가죽나무순, 엄나무순, 고사리, 고비
2. 새순과 새싹
청명 즈음에 한창이었던 매화와 벚꽃이 모두 지고, 새로 난 초록잎이 점점 무성해지고 있습니다. 층층나무, 이팝나무, 쥐똥나무, 버드나무 새순들의 연한 초록도 이제는 진한 초록으로 바뀌었습니다. 비가 온 다음 날엔 초록이 더욱 진하게 느껴지는데요, 잎이 많아져서 + 커져서 + 진해져서 + 날이 맑아서 그런게 아닐까 싶습니다.
3. 장애인의 날
어제는 곡우이면서 장애인의 날이고 장애인차별철폐의날이자 부활주일이었습니다. 여러분에게는 또 어떤 날이었나요?
4. 같이 좀 모르자
북토크에 참여한 덕분에 새로운 시각을 얻었다는 말씀을 듣고 몹시 뿌듯했습니다. 모임을 준비한 꿈뜰 일꾼들도 적지않은 위로를 받았는데요, 최선영님이 소개해주신 '장애와 예술과 교육'을 연결하는 방식이 '장애와 농사와 교육'을 연결해 온 꿈뜰의 시도와 닮은 구석이 많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꿈뜰 농장에서 발달장애청소년들과 텃밭수업으로 만날 때, 장애가 아니라 사람에 집중해서 깊이 관찰하고, 천천히 관계맺고, 무엇을 함께 하고 싶은지 찾아내는데 오랜 시간 공을 들이고 애써 온 것이 정말 괜찮은 접근이었구나, 틀린 게 아니었구나! 싶어 안심이 되었습니다.
『같이 좀 모르자』 북토크에 참여해주신 분들이 엽서에 적어주신 문장을 소개합니다. 책이 궁금하시면 최선영님의 블로그를 방문해보세요.
"
그 사람이 무엇을 하고 싶어하는지 궁금해하자.
00을 해야지가 아니라, 00을 하고 있구나.
개별성을 관찰할 수 있는 여유.
자기 자신으로 존재할 수 있는 자리.
스펙트럼의 어떠한 부분도 중심이거나 주변일 수는 없겠습니다.
촘촘한 계획보다 치밀한 수정.
사람을 향하면 계획도 수정될 수 있다.
유연성이 가능한 구조와 환경을 만들어 놓자.
5. 봄맞이 큰장(모종장)
4월 26일 토요일 오전 10시~오후 2시,
홍동면 애향공원에서 만나요~
6. 링크트리를 통해
책모임 기록, 안부를 남기는 창구, 꿈뜰 블로그와 SNS로 쉽게 건너가실 수 있어요.
linktr.ee/carefarmer
7. 그 사이에 사진 10장(최근 사진에서 오래된 사진 순서로)
#24절기 중에 여섯번째 절기 #곡우 #穀雨 #GrainRain
#꿈이자라는뜰 #소식을주고받는사이
자기다운 모습으로
서로 어울리고 배우는 농장
꿈이자라는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