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뜰에서 함께하는 마을샘들과 학교샘들이 한자리에 모여 꿈이자라는뜰의 목적과, 사업등에 대한 각자가 생각하는 그림을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오늘 모임은 어떤 사안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일단 다양한 생각들을 풀어놓고 의제들을 챙겨보자는 것이었지요. 선생님들 모두 꿈뜰이 생기기전부터 오랫동안 이 일에 관심을 가지셨던터라 정말 다양하고 의미있는 이야기들을 많이 나누어주셨습니다.
    아울러 매월 교육내용을 협의하는 <교사회의>와 구분해서 꿈뜰의 전체적인 방향을 이야기하는 <운영회의>가 따로 필요한 시점이라는 이야기도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여러 선생님들이 나누어주신 다양한 밑그림들을 모아서 정리하고, 큰그림을 그리는 역할을 맡을 운영위원회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일단  자리에 계셨던 박신자샘, 문철샘은 운영위로 들어가기로 결정하였고, 주변의 몇몇분들께 운영위 참여를 부탁하기로 하였습니다.


<화요일엔 꿈뜰에서>를 하루 미뤄서 오늘 수요일에 함께 일하기를 했습니다. 시용샘과 장구지샘이 오셔서 가을국화 옮겨심는 일을 도와주셨습니다. 수시로 일손을 빌려주시는 두분께 늘 감사할 따름입니다.

언제나 꿈뜰의 든든한 지원군~ 시용샘과 장구지샘


새잎과 뿌리를 내서 잘 살아준 국화도 있고,


그렇지 못한 국화도 있고....


학생들이 옮겨심을 분량은 한쪽켠에 따로 남겨두었습니다.


  오늘 꽃밭교실은 논생물조사 활동을 하는 날입니다. 원래 꽃밭교실을 진행하시는 오도샘은 학교일로 사정이 있으시고, 루씨샘은 몸이 아프셔서 오늘은 털보샘이 꽃밭교실을 진행했습니다. 갓골에 백련을 심어놓은 논을 중심으로 산책도 하고, 논뚝에, 논물 속에 있는 생물들도 살펴보고, 연잎도 가지고 놀았습니다. 그런데 날이 너무 더워서 야외에서 오래 활동하기가 힘드네요. 그래서 얼른 느티나무헌책방 앞에 시원한 그늘이 있는 평상으로 자리를 옮겨서 연잎으로 모자도 만들고, 들풀을 가지고 책갈피도 만들었지요. 작은가게에서 파는 딸기얼음송송은 언제 먹어도 기분이 좋습니다.

연잎을 모자처럼 쓰면요~ 시원하기도 하구요, 향기도 난 답니다~


원찬이가 보고 있는게 뭘까요?


바로바로 개구리밥이랍니다!


민서야 시원하니? 개구리 왕눈이에 주인공으로 나와도 되겠다!


앗, 주인공자리를 넘보는 또다른 배우들이군요~


끈으로 연잎 한쪽을 묶어서 아예 머리에 쏙 들어가는 모자를 만들었습니다.


언제나 그렇지만 맛있는 거 먹을 때만큼 즐거울 때가 또 있을까요? ^^


아~ 한가롭고 좋지요.



   오늘 목공교실에서는 못밖는 법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작은 네모상자를 만들면서 선구멍을 뚫고 피스못을 전동드라이버로 돌려서 밖아넣는 방법과 망치를 이용해서 작은 못을 밖는 연습을 했지요.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고, 손끝과 온 몸에 적절한 힘을 배분하면서, 모든 감각을 집중해서 무언가를 만드는 일을 하는 것은 참 좋은 공부방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네모상자의 옆면을 피스못으로 고정합니다.


네모상자의 아랫면에 합판을 대고, 그 위에 못 밖을 자리를 표시한 후, 작은 못을 밖았습니다.

오늘 텃밭교실은 일본에 가신 소영, 시용선생님을 대신해서 털보선생님이 진행했습니다. 우선은 초등학교 운동장 가장자리에 붙어있는 아래텃밭에 가서 작물들의 모습을 하나하나 살펴보았습니다. 그리고 지금 모습일때는 작물들을 어떻게 돌봐줘야 하는지 배웠습니다. 그리고나서는 위엣텃밭으로 올라가서 옥수수와 꽃들을 살펴보고, 잡풀들을 뽑아주었습니다. 그리고는 교실로 돌아와서 다음주 월요일 논생물조사 활동을 준비하기 위해 <벼가 자란다>를 함께 읽었습니다.

보리출판사에서 나온 <벼가 자란다>를 함께 읽었습니다.





+ Recent posts